본문 바로가기

곤충 이야기/알 ♥ 애벌레 ♥ 번데기

푸른큰수리팔랑나비 애벌레

 

 

 

 

 

 

 

 

 

 

 

 

 

나비 까페인 풍게나무숲의 게시판에 올라온 사진들에 달린 댓글을 읽으면서

여태 몰랐던 사실들을 알게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도감이나 백과사전 등의 자료를 볼때보다

기억에 많이 남아서 오히려 도움이 되는것 같다.

 

어느분이 산초나무 꽃 필 때

산초나무를 잘 살펴보면 푸른큰수리팔랑나비를 만날 수 있다는 말에

삼준산 임도의 산초나무에서 만날 수 있었다.

하지만 식초로 알려진 나도밤나무나 합다리나무는 찾을 수가 없었다.

 

애벌레가 보고 싶은데....

푸른큰수리팔랑나비의 애벌레는 애벌레 중에서도 색이 참 예뻐서

꼭 보고 싶은 아이였다.

 

개삼사 경지근처에서 커다란 합다리나무를 본 기억이 있어서

개심사 근처 다른곳에도 그 나무가 있지 않을까?

선원으로 오르는 임도 주변을 살펴보니 작은 나무가 몇그루 보였다.

그리고 사진에서 보던 잎을 붙여 만든 집이 보였다.

살짝 문을 열어보니..... 애벌레가 있었다.

 

 

 

 

 

9/4일 첫만남....개심사 임도에서

 

 

 

 

 

 

9/18일 헬기장 가는 길에

 

 

 

 

헬기장 가는길에 합다리나무가 있다는 지인의 정보에

원효봉 다녀오는 길에 살펴보았다.

잎을 두장을 붙인 모양새가 꼭 애벌레집같다.

아마도 한장을 마주 붙이기엔 몸집이 너무 커서 두장을 붙였나보다.

 

미안하지만 얼굴 좀 보자꾸나.

이불을 살짝 걷어내고 얼굴을 본다.

얼굴이 아니라 머리인가?

 

 

 

 

 

 

 

 

 

 

 

 

 

벌써 종령이 되었으니 올 해 나비가 되지 않을까 하는 기대로 집에 데려왔다.

이틀 동안은 그 모습을 볼 수가 없었다.

낮에 먹이활동을 하는지.... 아니면 밤에 먹이를 먹는지....

잎에 먹은 흔적은 있는데 시치미 뚝 떼고 집 안에 들어앉아 있었다.

그러다가 딱 걸렸다.

줄기를 타고 돌아다니기도 하고

먹이를 벗어나서 주변을 돌아다니기도 했다.

번데기를 만들 자리를 찾는것인가보다.

 

 

 

9/21

 

 

 

 

 

 

 

 

 

 

 

 

 

 

 

 

 

9/23일

 

 

 

 

 

 

 

 

 

 

 

 

 

 

 

 

26일에 드디어 번데기가 되었다.

아무래도 겨울을 날것 같은데....

괜한 욕심을 부렸나 후회 반, 걱정 반.

지금은 마른 식초잎에 쌓여 서늘한 곳에서 봄을 기다리고 있다.

흰 분가루가 조금 벗겨지기는 했지만

제가 가진 유전자대로 봄을 기다려

예쁜 나비로 만나게 될것 같다.

 

 

 

9/2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