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에서 나를 만나다/22년, 걸을 수 있는 만큼만

나홀로 산행, 보원사지에서 개심사까지

 

 

 

 

 

 

개심사를 기점으로 한바퀴 돌까 하다가,  좀 늦으막하게 움직이고 싶어서

11시 35분발 버스로 보원사지로 향했다.

산을 넘어오는 단풍의 발길은 아직 더딘데

흙더미를 잔뜩 쌓아놓아 조금은  황량하게 느껴지는 절터에

주렁주렁 매달린 빨간 감이 제일 먼저 눈에 들어왔다.

누구 따는 사람도 따로 없을 터,  찬서리 맞으며 홍시가 되면 새들이 날아들겠지.

홍시가 몇개쯤 남아 있을 즈음에 한번 다시 와볼까?

 

 

 

 

 

 

 

 

 

 

 

 

 

 

 

 

 

 

 

 

 

 

 

 

 

 

 

 

 

 

 

 

 

 

 

 

 

 

 

 

 

 

 

 

 

 

 

 

 

 

 

 

 

 

 

 

보원사 주변에  마음과 소원이 담긴 기와가 많이 쌓여 있다.

날짜를 보니 오늘이네.

내가 오기 전에 써 놓은 따끈따끈한 기와불사

 나태주님의 싯귀가 적혀 있다.

모두 꽃으로 품을 수는 없겠지만 노력은 해봐야겠지.

 

 

 

 

 

 

 

 

등산로 초입의 풀밭에서 나비들이 발목을 잡는다.

노랑나비, 작은주홍부전나비, 남방노랑나비....

 

 

 

 

 

 

 

 

 

 

 

 

 

 

 

 

 

 

 

 

 

 

 

 

 

 

 

 

 

 

 

충분히 놀아도 개심사에서의 버스시간을 맞추기에는 충분할것 같다.

쉬엄쉬엄 산길을 걷는다.

오름길 계단도 새로 했군.

옆으로 샛길도 새로 생겼다.

새앙사지?  처음 들어보는 이름이다.

가야산 자락에 100여개의 크고작은 절이 있었다고 하니

처음 들어보는것도 이상할것이 없지만 0.45의 짧은 거리지만

그곳을 갔다 올 마음은 들지 않았다.

표지판이 포장지에 쌓여 있는 것을 보니 아직 공사중인가보다.

 

 

 

 

 

 

 

 

 

 

 

 

 

 

 

 

 

 

 

 

 

 

 

 

 

 

 

 

 

 

 

 

 

 

 

 

 

 

 

 

우거진 숲길에 슬쩍슬쩍 비쳐드는 햇살이 황홀하다.

물들어 가을 느낌 물씬 풍기는 잎새들도 좋고

아직 초록초록 싱그런 느낌의 잎새들도 너무 좋다.

빛을 바라보며 함께 빛나는 순간의 아름다움.

 

 

 

 

 

 

 

 

 

 

 

 

 

구절초를 보니 갑자기 삼준산 임도가 궁금해졌다.

구절초가 참 많이 보였는데, 정작 꽃피는 가을에는 가본적이 없는 곳이다.

 

 

 

 

 

 

 

 

 

 

 

 

 

 

 

 

 

 

 

 

 

 

 

 

 

 

 

 

 

 

 

 

 

 

 

 

 

 

 

 

 

 

 

 

 

 

 

 

 

 

 

 

 

 

 

 

 

 

 

 

 

개심사의 범종각은 어디에 제 자리를 찾았을까 궁금했는데

아직 포장에 덮인채 여름과 다를바 없는 모습이었다.

동박새가 날아들던 감나무 중 한그루는 사라지고, 한그루는 감이 없고

샘터 부근의 감나무도 지난해에 비해 감이 드문드문하다.

나보다 새들이 더 아쉽겠지.

 

 

2022.  10.  23일.